MVC 패턴을 활용해 뷰 템플릿 만드는 순서
1. Mustache 파일 만들기
2. Controller 만들고 실행하기
3. 모델 추가하기
1. Mustache 파일 만들기
- src>main>resources>templates(우클릭)>New>File 후 "파일명.mustache"로 파일 만들기
- Install Handlebars/Mustache plugin을 클릭해 머스테치 플러그인을 설치하기
- doc를 친 후 tab키 누를 시 기본 HTML코드가 작성됨
- 본문(<body>)에 원하는 글 적기(<h1>)
2. Controller 만들고 실행하기(Mustache에서 만든 템플릿을 보이게 하기 위함)
- src>main>java>프로젝트(com.example.firstproject)(우클릭)>New>package 후 패키지 만들기 패키지명을 프로젝트.controller
- controller package우클릭 후 New>Java Class 선택 후 클래스명 작성(FirstController)
- 이 클래스가 컨트롤러임을 선언하는 @Controller 어노테이션 작성(클래스 패키지가 자동으로 임포트됨 안될경우 File>Settings>Editor>General>Auto Import 후 (Add unambiguous imports on the fly / Optimize imports on the fly) 2개 선택 후 적용 후 확인
- 반환형 문자열 메서드(public String) 선언 후 위에서 만든 Mustache 반환
- URL요청을 위해 @GetMapping("주소") 선언
3. 모델 추가하기(변수 선언)
- Mustache 파일에서 변수로 하고 싶은 문자를 지우고 {{변수명}}으로 대체하기
- 컨트롤러 매서드에서 변수를 받아오기 때문에 Controller 파일로 이동
- 반환형 문자열 메서드에 매개변수 추가(Model)
- 변수 등록을 위해 addAttribute() 매서드 사용
- model.addAttribute("변수명",변수값)
- 원하는 결과 웹 브라우저에 출력
'게시판 만들기(스프링 부트3, 나도코딩 스터디) > 2장. MVC 패턴 이해와 실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4 뷰 템플릿 페이지에 레이아웃 적용하기(게시판 만들기 / 길벗 코딩 자율학습단) (0) | 2023.11.21 |
---|---|
2.3 MVC의 역할과 실행 흐름 이해하기(게시판 만들기 / 길벗 코딩 자율학습단) (2) | 2023.11.21 |
2.1 뷰 템플릿과 MVC 패턴(게시판 만들기 / 길벗 코딩 자율학습단) (0) | 2023.11.21 |